글/감동글

조락공강 (潮落空江

酒樂人 2013. 2. 27. 11:31

당나라 때 이정(李�H)이 쓸쓸한 송강역(松江驛) 물가에서 저물녘에 배를 대다가 시 한 수를 썼다.

"조각배에 외론 객이 늦도록 머뭇대니, 여뀌꽃이 피어 있는 수역(水驛)의 가을일세.

세월에 놀라다가 이별마저 다한 뒤, 안개 물결 머무느니 고금의 근심일래.

구름 낀 고향 땅엔 산천이 저무는데, 조수 진 텅 빈 강서 그물을 거두누나.

여기에 예쁜 아씨 옛 노래가 들려오니, 노 젓는 소리만이 채릉주(采菱舟)로 흩어진다

片帆孤客晩夷猶,

紅蓼花前水驛秋.

歲月方驚離別盡,

烟波仍駐古今愁.

雲陰故國山川暮,

潮落空江網��收.

還有吳娃舊歌曲,

棹聲遙散采菱舟.

참으로 적막하고 쓸쓸한 광경이다.

조각배를 탄 나그네가 물가를 쉬 떠나지 못하는 것은 강가의 붉은 여뀌꽃 때문만은 아니다.

둘러보니 지나온 세월은 덧없고, 사랑하던 사람들은 다 떠났다.

산천은 자옥한 구름 속에 가뭇없이 저물고, 썰물 진 빈 강에서 어부들은 말없이 낮에 쳐둔 그물을 거둔다.

환청인가 싶게 먼 데 노랫소리가 가냘프게 들린 것만 같다.

사공은 나를 빈 강가에 내려놓고 찌꺽찌꺽 노를 저어 저문 강 저편으로 사라진다.

청나라 때 김성탄(金聖嘆)이 '산천은 저무는데, 그물을 거둔다'고 한 5·6구를 읽고 이런 평을 남겼다.

"하루가 끝난 뒤는 이와 같을 뿐이다.

일생이 끝난 뒤도 이와 같을 뿐이고,

한 시대가 끝난 뒤도 이와 같음에 지나지 않는다."

이덕무(李德懋)는 김성탄의 평을 보고 또 평을 남겼다. "내가 이 말을 듣고 망연자실 드러누워 천장을 우러러보며 드넓은 흉금에 감탄하였다."

'청비록(淸脾錄)'에 나온다.

하루가 이렇게 가고, 한 인생이 이렇게 가고, 한 시대도 이렇게 물러나는 것이다.

목전의 일 앞에 일희일비(一喜一悲)하며 사생결단하던 다툼이 머쓱해진다. 좀전의 노랫가락은 환청이었을까?

그는 아주 먼 길을 돌아서 처음 자리에 다시 섰다. 하지만 그런가?

어둠이 곧 찾아들겠지만, 금세 새벽이 온다.

사공은 부지런히 노를 저어 물가에 다시 배를 댈 게고, 어부는 힘차게 새 그물을 칠 것이다.

고운 아가씨는 간밤의 슬픈 가락을 잊고 새 단장에 분주하리라.

이런 반복 속에서 장강대하(長江大河)와 같이 하루가, 일생이, 한 시대가 흘러왔다. 차분하고 담담하게 닫히고 열리는 한 시대를 본다.

 

 

 

' > 감동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4 甲午年 새해  (0) 2014.01.03
음주육폐(飮酒六弊)  (0) 2013.06.12
건상유족(蹇裳濡足)  (0) 2012.08.22
곡선부패  (0) 2012.08.10
감취비농  (0) 2012.08.08